728x90

구로디지털단지 넷마블 코웨이 G타워에 위치한 G밸리산업박물관 방문후기입니다.

과거 구로공단, 구로아리랑이라는 이미지에서 최근 첨단 IT 기업들이 입주하고 발전하는 역사를 보여주는 전시관 입니다. 구로디지털단지역이 아닌 구로공단 역을 기억하시는 분들에게는 

 

| G밸리산업박물관 위치 

지밸리산업박물관은 구로디지털단지역 지타워 3층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곳은 넷마블과 코웨이 본사가 있지만 2층에는 ㅋㅋ다방과 넷마블 박물관, 코웨이 처험공간이 마련되어 있네요.

 

| 지밸리산업박물과 휴무일과 운영시간

G밸리산업박물관 휴무일은 매주 일요일과 월요일 입니다. 운영시간은 화요일~토요일 10시 ~ 18시까지 운영됩니다. 입장료는 무료이며 주차는 지타워 주차장을 이용하면 되지만 별도 주차요금 할인은 없습니다.

전시장은 크게 4개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람시간은 한 시간 내외입니다.

 

ZONE.01 1968, 제1회 한국무역박람회 속으로 

G밸리의 시작이자 구로공단으로 불리는 한국수출산업공단이 만들어진 다음 해, 1968년 한국 수출 무역의 성과를 알리는 한국무역박람회가 개최되며 구로공단이 성장하는 이야기가 소개됩니다. 

이미 당시 이 역사와 함께하신 분들은 어디서 무엇 하시는지...

 

ZONE.02 구로에 모이다 

산업시설과 시설 노동자들을 위해 지원 시설을 집약한 산업단지인 구로공단은 공업 생산품을 수출하여 한국 경제 성장의 주된 기반이 된다.

 

지면에서 본 구로공단

과거의 자원과 시설을 모아 둔 구로공단은 단지 여러 공장이 모여있는 지구계획이었지만 오늘날 기업간 협력과 네트워킹이 강조되는 공간인 G밸리 클러스터로 변모한 역사를 볼 수 있습니다.

 

 

구로공단 시작의 날 

한국수출산업단지, 즉 구로공단은 정부의 경제개발 의지와 기업의 도전정신과 노동자들의 헌신이 결합된 한국경제 성장의 시작점이 되었다고 하는데요. 당시의 여러 흔적들을 만나볼 수 있지만 공감하기는 다소 어려웠네요.

 

G밸리산업박물관 해당공간 까지는 우리의 부모님이 정말로 몸을 갈아서 만들었던 공단의 눈물나는 이야기가 진행됩니다.

 

ZONE.03 구로공단에서 G밸리로 

구로공단은 대한민국의 산업화와 민주화, 노동의 빛과 그림자가 뒤섞여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의미와 작용 및 영향이 쌓여가고 있다. - 안치용 외, 『구로공단에서 G밸리로』, 한스미디어

 

03-01 손으로 반, 기계로 반 1965~ 1980 

한국수출산업단지는 수도권 지역의 유리한 입지와 정부의 다양한 지원을 받아 가발, 섬유, 봉제, 완구 등 노동집약적 경공업을 기반으로 1971년 10억 달러의 수출을 달성한 이야기

728x90

 

03-02 불이 꺼지지 않는 공장 1981~1990 

한국수출산업단지는 수도권 지역의 유리한 입지와 정부의 다양한 지원을 받아 가발, 섬유, 봉제, 완구 등 노동집약적 경공업을 기반으로 1971년 10억 달러의 수출을 달성했지만...

 

빨간꽃 노란꽃 미싱은... 노동자들의 희생으로 이룬 어찌보면 정말로 슬픈 우리의 역사...

 

 

 

대한광학 코비카 카메라... 여기에서 만나다니...

 

코비카 카메라는 1976년 ㈜대한광학에서

국내 기술로 개발한 대한민국 최초의 자체 브랜드 필름카메라입니다. ‘코비카(KOBICA)’라는 이름은 KOrea, BInocular, CAmera의 앞 글자를 따서 만들어졌으며, 쌍안경과 현미경 등 정밀 광학기기를 주로 생산하던 대한광학이 정부의 지원 아래 일본, 독일, 캐나다 등 여러 나라의 기술을 합작해 완성했습니다. 대표 모델인 코비카 35 BC는 35mm 필름을 사용하는 완전 수동식 목측식 카메라로, 사용자가 직접 거리와 조리개를 조절해 촬영해야 하며, 플래시 기능도 탑재되어 있습니다. 코비카 카메라는 당시 외제 카메라에 비해 성능은 다소 부족했으나, 국산 기술로 만든 첫 카메라라는 점에서 산업사적으로 큰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03-03 구로지역 20만 노동자여! 

구로공단의 노동자들은 개인이 처한 현실과 사회적 울분을 연대의 힘으로 풀어가며 그들의 권리의식을 쌓아 구로동맹파업으로 표출한 이야기

 

월급봉투,  우리 아이는 이런 것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을까?

 

박노해 시집 노동의 새벽, 이문열 구로아리랑, 세상살이 공장살이...

80년대 당시 노동자들의 삶과 현실, 그리고 사회적 편견을 비판적으로 조명하는 다양한 책들...

 

 

추억의 다이얼 전화기와 버튼식 전화기 등,,,

요즘 아이들은 이 전화기 작동할 수 있을까요?

 

 

백통 전화기, 흑통전화기의 의미를 알 수 있을지...

 

아주 어린 시절 집이나 친구집, 친척집에서 볼 수 있던 아주 비쌌던 가전제품들...

 

대한전선 선풍기 D-3590W

1980년 대한전선에서 생산된 선풍기 D-3590W. 상단에 팬이 있고 그 아래 받침대가 있는 형태. 파란색의 팬 4개를 흰색 보호망이 감싸고 있고, 팬 중앙에는 대한전선 로고가 있음

 

대한전선 주식회사는 1955년 2월에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 종합 전선회사로 조선전선의 후신. 1960년대에 전선 생산의 국산화를 이룸. 1967년 11월 구로구 시흥동에 전선공장을 신설. 1968년 6월에 냉장고, 에어컨, 라디오, 1969년 1월에 텔레비전, 1970년 9월 탁상용 전자계산기를 생산하는 등 1960년대 후반에 가전 분야에 진출. 1983년에 가전사업을 대우그룹에 매각.

 

금성사 스테레오 라디오 카세트 녹음기 TSR-711

옛날 우리집에 있던 카세트 녹음기 엄청 반가운,..

 

모델명 TSR-711. 1979년 금성사 라디오 및 앰프 공장이 구로에 준공된 이후 생산된 AM/FM 스테레오라디오/카세트 녹음기. 1985년 미국 모토로라사로부터 AM스테레오 라디오 제조 기술을 도입해 라디오 음악 청취의 질을 한 단계 높인 스테레오 기술이 적용된 라디오. 본체 앞면 양 측면에 스피커가 있고 중앙에 라디오 채널 화면, 채널 조정장, VOLUME, TONE, TAPE SELECT, MODE, FUNCTION 장치가 있음. 그 아래로 카세트 테이프 투입구, TAPE COUNTER, RECORD, PLAY, REW, F.F, STOP/EJECT, PAUSE 장치가 있음.

 

있는집에서 볼 수 있었다는 자바라 TV, 마마밥솥

 

 

03-04 굴뚝 위로 솟은 첨단산업 1991~2020 

1990년대 산업구조의 고도화와 첨단화에 따라 구로공단은 하락세를 보이며 이후 지식 정보의 가치가 중요한 첨단산업 중심의 G밸리로 점차 변화한다.

 

금성컴퓨터 마이티, 삼성컴퓨터 알라딘, 뉴텍 컴퓨터, 삼보컴퓨터...

 

세진컴퓨터 세종대왕

1990년대 선풍적인 인기를 끌던 세진컴퓨터에서 시리즈로 발매한 세종대왕 컴퓨터 세트. 모니터, 본체, 키보드, 마우스 총 4점으로 구성. 모니터의 모델명은 DX-1548, 제조사는 세진컴퓨터주식회사, 제조원은 대선산업주식회사. 본체의 모델명은 SC-세종-126MT, 1996년 4월에 제조됨. 키보드는 세진전자에서 1995년 7월에 제조. 세종대왕 컴퓨터 세트는 세진컴퓨터의 주력 상품 중 하나로서 한국능률협회 컨설팅이 선정한 1998년 올해의 고객 만족 최우수 상품. 1992년 한상수 대표가 컴퓨터 종합 유통업체인 세진컴퓨터랜드를 설립함.

반응형

1995년 서울 잠실에 1호점, 영등포구 당산역 부근에 2호점을 개장함. 1990년대 중반 고급형 PC 자체 브랜드인 세종대왕 컴퓨터 시리즈를 출시하고 '세종대왕은 문맹 없는 나라를 만들었습니다. 세진은 컴맹 없는 나라를 만들겠습니다.'라고 홍보함. 세종대왕 시리즈는 이후 1996년 12월에 TV, 오디오 가전 기능까지 겸비한 세종대왕 프로나 기존의 비디오보드에 비해 4배 이상 빠른 속도로 그래픽 데이터를 처리하는 APG 비디오 카드를 탑재한 세종대왕 98시리즈 등 여러 시리즈로 출시됨. 세진컴퓨터랜드는 무상 수리, 평생 A/S, 무료교육 등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급속도로 성장함. 무리한 확장으로 인한 위기를 맞아 대우통신에 인수됐으나 1997년 IMF 시기 대우그룹이 해체되면서 2000년에 부도처리 됨.

 

ZONE.04 G밸리 연대기

노동집약적 경공업부터 기술형 제조업 그리고 현대의 첨단 산업까지 구로공단에서 시작하여 G밸리로 변화하는 흐름은 멈추지 않는다. 멀티미디어 공간인데 시간상 패스

 

| 미디어 라이브러리, 기획전시실

구로디지털단지 G타워 3층 G밸리산업박물관 마지막 공간은 미디어라이브러리와 기획전시실입니다.

멑티미디어 키오스크를 통해 구로공단에서 현재 구로디지털 단지로 변신하는 기간동안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만나볼 수 있고요. 이곳에 전시된 제품들의 자세한 내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공간은 잘 모름...

 

| G타워 주차장 및 주차요금

오늘 소개하는 G밸리산업박물관은 구로디지털단지에 있는 지타워 빌딩에 위치해 있습니다. 별도 주차요금할인이나 무료 주차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지하 주차장을 이용하시면 되고요.

 

G타워 주차장 진출입 난이도는 어렵지 않습니다만, 그렇다고 여유있게 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입출차가 같이 있으면 조금 긴장 하셔야.

 

구로 G타워 주차장은 깨끗하게 잘 관리되고 있네요.

 

 

구로 디지털단지 G타워 주차장 전기차 충전소는 테슬라 충전소와 한화모티브 전기차 충전소가 있네요.

 

 

다만 구로 지타워 주차장은 지하 2층부터 5층까지 있지만 지하 4층까지 주차공간 여유가 없습니다. 자리가 있다는 표시가 있어 가보면 장애인 주차공간이거나 경차 공간이 대부분이고요. 결국 돌다돌다 마지막 지하 5층 지타워 주차장에 여유가 있네요.

 

| 구로 G타워 주차요금 안내입니다.

기본 요금 10분에 700원, 이후 10분 단위로 700원 주차요금이 부과됩니다. 한 시간 주차료는 4.200원
1일 주차의 경우 30,000원 주차요금 발생합니다.

728x90
728x90

청와대 관람신청 및 예약에 성공해서 주말에 가족들과 함께 청와대 관람 다녀왔습니다.

이번에는 자가용으로 가족이 방문 했는데요. 청와대 주차장은 협소하기로 유명하고 안내된 주차장은 야외 주차장으로 여름철 주차도 용이한 곳들은 아닙니다. 오늘청 청와대 주차장 주자 꿀팁 공유합니다.

 

글 하단에 100% 청와대 주차 가능한 주차장 소개합니다. (지하에 시원한...)

 

| 청와대 인근 주차장 안내

청와대 관람 홈페이지에는 아래 4곳의 주차장이 안내되어 있습니다. 가장 접근성이 좋은 주차장은 춘추문 주차장과 청와대 사랑채 주차장이 있고요. 조금 거리있는 곳에 세종마을 신교 주차장과 삼청 제1공영 주차장이 있습니다만...

 

| 새벽같이 방문해도 안내된 주차장은 만차!

관람은 청와대 정문 입구와 춘추문으로 입장이 가능한데요. 참고로 청와대 내에는 관람객을 위한 주차장은 없습니다.

가장 가까운 청와대 주차장도 이곳까지 약 4~500m 걸리로 10분 정도 도보로 이동해야 합니다. 만약 몸이 불편하신 분이나 어르신이 있다면 먼저 이곳 청와대 정문에 먼저 하차하시고 주차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 청와대 사랑채 주차장

청와대 주차장 중에서 가장 가까운 주차장입니다만 오전 10시 24분 방문했을때, 이미 주차장은 만차입니다. 입장위한 대기차량이 약 30여대 되네요. 청와대 관람이 시작되는 오전 9시 이전에 도착하지 않으셨다면 사실 포기하셔야 합니다.

주차 대기시간은 최소 30분 ~ 1시간 생각하셔야 합니다.

 

만약 효자동 사랑방 앞에서부터 주차장 대기차량이 있다면 포기하세요.

 

 

| 춘추문 주차장

두번째로 청와대와 가까운 주차장입니다만, 오전 10시 20분 상황입니다. 이미 청와대 춘추문 주차장도 만차이며, 더구나 주차대기도 불가합니다. 정말로 운이 좋은 경우에만 주차가 가능한 곳이 바로 춘추문 주차장이니 만차 표시가 있다면 빠르게 포기 하세요.

 

| 효자공영주차장

청와대에서 약간 떨어진 청와대 주차장 중 하나가 바로 효자 주차장인데요. 이곳은 주말의 경우 통인시장 방문객까지 몰리면서 주차하기 쉽지 않습니다. 역시나 포기

 

| 주말 청와대 방문시에는 자가용을 포기하자...

다소 거리가 있는 정독 도서관 주차장 상황도 만만치 않습니다.

사실 주말 청와대 관람 한다면 대중교통 이용을 추천 드립니다만, 그래도 상대적으로 편한 주차장은 따로 있습니다.

반응형

| 청와대 주차 최고의 공간은 바로 국립현대미술관

개인적으로는 가장 추천하는 주차장은 바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지하주차장입니다. 

주차공간도 상당히 넓고 특히 오전에는 대기에서 입차까지 최대 15~20분 정도면 입차가 가능합니다. 이번에도 론뮤익전 등 대규모의 전시회가 진행되고 있어도 15분 만에 주차장 진입후 주차에 성공 했습니다. 청와대 관람 주차는 이곳 현대미술관 추천 드립니다.

 

또한 국립현대미술관 주차장은 지하 주차장으로 더운 여름에도 차가 시원하게 주차할 수 있고, 주차공간도 상당히 여유 있습니다. 특히 전기차나 하이브리드 차량등 친환경 차량은 별도 주차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주차요금도 할인 됩니다.

 

 

청와대 관람 주차장 주차 팁으로 소개하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주차장 이용정보 및 주차요금 할인팁은 아래 지난 포스팅 참고하세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주차장, 주차요금 할인, 전기차충전소

오늘은 경복궁 근처에 위치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주차장 및 주차요금 할인방법 , 전기차 충전소 및 친환경차 주차구역, 주차장 진입 웨이팅 등 주차관련 정보 공유합니다. 저는 가족들과 함

www.a4b4.co.kr

 

 

차선책으로는 경복궁 주차장도 있지만 대기는 국립현대미술관이 좀 더 짧은 것 같네요.

오늘은 청와대 관람 주차장 주차팁 공유했는데요. 주말 기준으로는 운에 맡기며 주변 주차장을 빙빙 돌기 보다는 차가 많다! 라고 생각하시면 국립현대미술관 주차장에 추차 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이후 조금 올라가셔서 춘추관으로 입장하시고 정문으로 나오셔서 셔틀버스 타시면 됩니다.

 

728x90
728x90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주차장 및 주차요금 할인팁 공유합니다.

특히 특별전시실이나 어린이박물관 등 박물관 입구와 가장 잘 연결되어있는 구역 주차팁도 소개합니다.

 

| 국립중앙박물관 주차장 가는길

국립중앙박물관 입구로 들어오면 2차로 길이 나옵니다. 왼쪽 1차선은 대형, 오른쪽 2차선은소령자동차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길입니다. 자가용으로 방문 하셨다면 2차선 소형차 자로로 진입하시면 됩니다.

 

쭈욱 오시면 국립중앙박물관 지하 주차장으로 진입구로 안내됩니다.

 

주차장 진출입구 난이도는 보통입니다.

도로폭도 넓고 급커브도 없고. 운전이 익숙하지 않은 분들도 큰 어려움 없이 주차 가능합니다.

| B60, B70번 구역 추천

국립중앙박물관 지하1층 관람객용 주차장은 522대 차량 수용이 가능한데요. 주말에는 다소 주차난이 생깁니다.

특히 여름 겨울방학 주말시즌 큰 전시회나 행사가 있는 기간에는...

728x90

자리 공간이 있다면 매표소, 상설전시관과 어린이 전시관 극장용 등으로 바로 연결되는 B60, B70번 구영 주차 추천 드립니다. 이곳이 국립중앙박물관 주차장 명당자리 입니다.

| 환경친화적 자동차 주차구역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지하 주차장에는 환경친화적 자동차 및 경차·하이브리드용 자동차 전용 주차구역이 위치해 있습니다. 또한 지하주차장에서 국립중앙박물관 어린이박물관이나 매표소, 상성전시관 출입구와 바로 연결되어 있는 곳입니다.

 

특히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국립중앙박물관 방문 하신다면 꼭 초록색 공간 찾아보시고요. 해당 공간은 전기차, 수소차, 하이브리드차 전용공간으로 일반 차량 주차시 과태로 10만원이 부과됩니다.

| 국립중앙박물관 전기차 충전소

B34 B44 B54구역 근처에 전기차 충전소가 있고요. 지상층 이동 접근성도 좋습니다.

 

관람객 전용 주차장은 지하 1층에 있고요. 우리가 박물관으로 알고 있는 국립중앙 박물관 상설 선지관, 특별전시실, 어린이박물관, 매표소 등의 시설은 지상 3층에 있습니다. 주차장에서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로 이동가능 합니다.

| 국립중앙박물관 주차요금 할인

국립중앙박물관 일반 유료 관람객 주차요금 할인제도는 없습니다.

다만 주차요금이 비싸지는 않습니다.. 2시간 기본 2,000원, 이후 초과시 30분에 500원 입니다. 즉 한 시간에 1,000원 주차요금이 부과되니 큰 부담없습니다.

 

장애인 또는 국가유공자는 주차요금 무료, 경차나 친환경차 방문자는 국립중앙박물관 주차요금 할인 50% 됩니다.  정산은 지하주차장 무인 정산기에서 가능한데요. 이제는 대부분의 공공기관 주차정산기에서 친환경차 전산연동이 완료된 것 같습니다.  

반응형

별도 확인 없이 차량 번호로 국립중앙박물관 주차요금 할인 가능하네요.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한 시간에 500원 주차요금이 발생하니 주차요금에 큰 부담없이 시간여유 가지고 관람이 가능하네요.

 

지하주차장에서 엘리베이터를 타고 바로 3층으로 이동하시면 됩니다.

다만 주말에는 아이들과  함께 방문하는 유모차 관람객이 많으니 에스컬레이터 사용하시는 방법도 추천 드립니다.

 

 

엘리베이터를 타고 3층으로 올라오시면 바로 어린이 박물관과 특별전시실  1관으로 진입할 수 있고요. 건너편 건물에는 국립중앙박물관 메인 전시동인 상설전시관과 특별전시실2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 상설 전시실과 특별전시실2 방문하기 위해서는 금속탐지기 통과하셔야 합니다. 가방 없이 방문하시면 그냥 걸어가면서 편하게 통과할 수 있고요. 가방이 있다면 별도 추가 확인이 필요합니다만, 공항 검색대처럼 까다롭지는 않습니다.

워낙 미친 인간들이 많으니 이 정도 보안은 운영되어야 하겠죠.

 

제가 포스팅 작성시점 추천하는 전시회 입니다.

 

새 나라 새 미술 : 조선 전기 미술 대전 예약, 도슨트, 포토존 관람팁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는 새 나라 새 미술 : 조선 전기 미술 대전 전시회 관람후기 입니다.아마도 올해 한국미술 전시회로는 가장 큰 규모의 핫 한 전시회가 될 것으로 생각되는데요. 금

www.a4b4.co.kr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