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4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
 
초중고사교육비조사는 사교육비 지출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교육정책 및 관련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

- 본 내용은 통계청이 교육부와 공동으로 전국 초중고 약 3,000여 학급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초중고사교육비조사 결과임
- 사교육비는 초중고 학생들이 학교의 정규 교육과정 이외에 학교 밖에서 받는 보충교육을 위해 개인이 부담하는 비용임
  학원수강, 개인과외, 그룹과외, 방문학습지, 인터넷 및 통신강좌 등의 수강료(교재비 포함) 지출 비용을 의미함
  일반교과(국어, 영어, 수학 등)와 논술, 예체능(음악, 미술, 체육) 및 취미·교양, 진로·진학 학습상담 비용 등임
  다만, 늘봄학교·방과후학교 비용, EBS 교재비, 어학연수비 등은 사교육비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며 별도 항목으로 구분함
 
2024년 초중고사교육비조사 결과 주요 특징

[교육부+03-14(금)+조간보도자료]+2024년+초중고+사교육비+조사+결과.pdf
1.95MB
[교육부+03-14(금)+조간보도자료]+(별첨1)+2024년+초중고사교육비조사+결과+주요+특징.hwp
0.24MB

 
2024년 초중고사교육비조사 결과 주요 특징
【 2024년 초중고사교육비조사 결과 주요 분석 】
▪ (초등학교) 1인당 사교육비 가장 크게 증가, 읍면 초1 참여율은 큰 폭 하락
▪ (중학교) 사교육 참여율, 사교육 참여시간 전년 대비 증가
▪ (고등학교) 1인당 사교육비 증가세 둔화, 읍면지역의 증가율 높음
▪ (시도별) 시 대비 도 지역의 1인당 사교육비 및 참여율이 더 크게 증가
※ 조사시기 및 대상으로 인해 늘봄학교, 사교육 없는 지역·학교 등 정책 반영 저조
 
초등 1인당 사교육비 증가, 읍면 초1 참여율 큰 폭 하락
□ 모든 학교급 중 초등학교의 전체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증가율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ㅇ 초등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44.2만 원으로 전년 대비 4.4만 원 (11.1%↑) 증가하였으며, 일반교과의 경우 27.8만 원(3.1만 원↑, 12.8%↑), 예체능 및 취미․교양은 16.3만 원(1.3만 원, 8.7%↑)으로 나타났다.
□ 사교육 참여율을 학교급 및 학년별로 살펴보면 초등학교 1학년의 사교육 참여율은 87.9%(0.2%p↑)로 전년 대비 증가폭이 가장 작았고, 초등학교 5학년은 87.8%(3.9%p↑)로 증가폭이 가장 컸다.
 
중학교 사교육 참여율, 참여시간 증가
□ 2023년 중학교 사교육 참여율은 75.4%로 2022년 76.2% 대비 0.8%p 감소한 반면, 2024년에는 78.0%로 전년 대비 2.7%p 증가하였다.
□ 학교급별 주당 사교육 참여시간을 살펴보면 초등학교 7.8시간(0.3시간↑), 중학교 7.8시간(0.4시간↑), 고등학교 6.9시간(0.2시간↑)으로 중학교에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고등학교 1인당 사교육비 증가세 둔화, 읍면 증가율↑
□ 고등학교의 전체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52.0만 원으로 전년 대비 5.8% 증가하였으며, ’22년 46.0만 원(9.7%↑), ’23년 49.1만 원(6.9%↑)과 비교하여 증가세는 둔화되었다.
□ 2023년 중학교 사교육 참여율은 75.4%로 2022년 76.2% 대비 0.8%p 감소한 반면, 2024년에는 78.0%로 전년 대비 2.7%p 증가하였다.
□ 학교급별 주당 사교육 참여시간을 살펴보면 초등학교 7.8시간(0.3시간↑), 중학교 7.8시간(0.4시간↑), 고등학교 6.9시간(0.2시간↑)으로 중학교에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고등학교 1인당 사교육비 증가세 둔화, 읍면 증가율↑
□ 고등학교의 전체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52.0만 원으로 전년 대비 5.8% 증가하였으며, ’22년 46.0만 원(9.7%↑), ’23년 49.1만 원(6.9%↑)과 비교하여 증가세는 둔화되었다.

 
 
2024년 유아사교육비 시험조사 주요결과

[교육부+03-14(금)+조간보도자료]+(별첨2)+2024년+유아사교육비+시험조사+주요+결과.hwp
0.29MB

 
【 2024. 유아사교육비 시험조사 주요 결과 】
(총액) 3개월(7~9월) 사교육비 총액 8,154억원
(참여율․시간) 사교육 참여율 47.6%, 참여유아 기준 주당 참여시간 5.6시간
(1인당) 사교육 참여유아 기준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33.2만원 
※ 전체유아 기준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 15.8만원
(수강목적) 예체능 및 기타 과목은 재능계발 및 진로탐색(60.3%), 일반과목 및 논술과목은 입학 준비(67.6%) 비중이 높음
월평균 소득이 800만원 이상인 가구에서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가장 많고, 사교육 참여율이 가장 높음
 
7~9월 사교육비 총액은 8,154억원, 사교육 참여율은 47.6%, 주당 참여시간은 5.6시간으로 기관 재원 유아 3.7시간, 가정양육 유아 15.2시간
- (7~9월 사교육비) 총 8,154억원, 기관재원 4,671억원, 가정양육 3,483억원이며, 2세이하 858억, 5세 3,519억원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증가
- (사교육 참여율) 47.6%, 기관재원은 50.3%, 가정양육 37.7%이며 2세 이하는 24.6%, 5세는 81.2%로 연령이 높을수록 참여율 증가
- (주당 참여 시간) 5.6시간, 기관재원은 3.7시간, 가정양육은 15.2시간이며 2세 이하 1.8시간, 5세 7.8시간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참여시간 증가
 
2024 유아사교육비 시험조사 주요 결과
 

 
출처 : 교육부
2024 유아사교육비 시험조사 주요 결과 파일 
 

교육부 > 교육부 소식 > 보도·설명·반박 > 보도자료

2024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 □ 초중고사교육비조사는 사교육비 지출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교육정책 및 관련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  ○ 본 내용은 통계청이 교육부

www.moe.go.kr

 

728x90

+ Recent posts